728x90
반응형

새벽기도회 57

52. 회개하고 돌아오면 첫사랑이 회복된다, 아가 6장 1-13절

제목 회개하고 돌아오면 첫사랑이 회복된다 날짜 2023년 7월 28일 본문 아가 6장 1-13절(3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은 다시 만나서 사랑을 노래하는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앞선 장에서 잠시 위기가 있었다면 이제 다시 회복되는 두 사람의 관계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술람미 여인은 부부간의 사랑의 관계를 어떻게 표현합니까?” 3절을 보니 사랑에 빠진 자들은 서로에게 속해있다고 고백합니다. ‘나는 내 사랑하는 자에게 속했고, 내 사랑하는 자는 나에게 속했다’고 고백합니다. 즉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완전히 하나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표현에서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포..

51. 사랑은 마음을 맞춰 동행하는 것이다, 아가 2장 1-17절

제목 사랑은 마음을 맞춰 동행하는 것이다 날짜 2023년 7월 24일 본문 아가 2장 1-17절(1-013)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은 솔로몬과 술람미 여인의 계속되는 사랑이야기입니다. 서로를 향한 애틋한 사랑을 볼 수 있습니다. 어느 한 사람의 사랑이 더 큰 것이 아닌 똑같이 두명다 서로를 향한 엄청난 사랑을 가지고 있고 서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 사랑은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여인은 자신의 아름다움과 솔로몬에 대해 어떻게 표현합니까?” 먼저 여인은 자신을 1절에서 아름다운 꽃인 수선화이고 백합화로 표현합니다. 아름답죠. 사랑에 빠진 화사하게 핀 꽃으로 자신을 표현합니다. 그리..

49. 하나님께 받은 사랑으로 형제를 사랑하라, 요한1서 4장 19 - 5장 3절

제목 하나님께 받은 사랑으로 형제를 사랑하라 날짜 2023년 7월 14일 본문 요한1서 4장 19- 5장 3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은 계속해서 사랑을 강조하는 요한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냥 사랑이 아닌 성도들, 형제들을 사랑하라는 것을 강조해서 말합니다. 사랑의 사도가 본문에서 우리에게 서로 사랑하라고 권면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겠지요? 오늘 본문을 통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하나님은 사랑한다 하고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무엇을 하는 자입니까?” 입술로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말하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 않으면 그는 거짓말하는 자라고 분명하게 요한은 말합니다. 눈에 보이는 사람을 사랑하지 않는데, 어찌 눈에 보이지 않는..

48. 하나님을 안다면 서로 사랑하라, 요한1서 4장 7-10절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은 그리스도인들이 왜 서로 사랑해야 되는지에 대한 본문입니다. 요한은 사랑의 사도라고 불립니다. 그 사랑의 사도가 본문에서 우리에게 서로 사랑하라고 권면합니다. 요한은 왜 이것을 강조할까요?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사랑하면 좋을까요? 오늘 본문을 통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요한은 성도들에게 무엇을 권면합니까?” 사랑의 사도인 요한은 성도들에게 서로 사랑할 것을 당부합니다. 교회 공동체가 다툼이나 미움이 아닌 사랑을 중심으로 하나로 뭉칠 것을 강조합니다. 요한은 사랑을 강조하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내용관찰2 번이죠. 내용관찰 2번입니다. 2.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요한은 8절에서 말합니다. “하나님은..

47. 진리의 말씀을 붙들고 예수님 안에 거하라, 요한1서 2장 24-29절

제목 진리의 말씀을 붙들고 예수님 안에 거하라 날짜 2023년 7월 6일 본문 요한1서 2장 24-29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은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하면 거짓 가르침과 거짓 선지자들에게 미혹되지 않는지를 설명하는 본문입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굳건한 신앙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을 향해서 거짓 가르침들과 미혹들이 상당히 심했습니다. 그래서 요한은 바울과 같이 성도들에게 힘써 복음을 가르쳤습니다. 오늘 본문이 어떤 내용들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요한은 하나님과 예수님 안에 거하는 비결을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요한은 성도들이 다른 것이 아닌 하나님과 예수님 안에 굳게 뿌리내리길 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비결을 말..

말씀의 분별력을 위해 듣는 은사를 키우라, 잠언 4장 18-21절

제목 말씀의 분별력을 위해 듣는 은사를 키우라 날짜 2023년 5월 22일 본문 잠언 4장 18-21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의 배경은 잠언입니다. 지혜의 왕 솔로몬은 자신의 자녀들에게 중요한 말을 합니다.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지를 설명합니다. 쉽게 말해 의인과 악인을 비교하며, 그 끝을 살펴보며 악인의 길이 아닌 의인의 길을 걸을 것을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 많은 것들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솔로몬은 자녀들에게 지혜로운 길과 정직한 길을 가면 어떠하다고 말합니까?” 12절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죠. 12절을 함께 읽겠습니다. 다닐 때에 네 걸음이 곤고하지 아니하겠고 달려갈..

사무엘상 31장 6절, 굳은 마음을 버리고 주님께 돌아가자

제목 굳은 마음을 버리고 주님께 돌아가자 날짜 2023년 5월 19일 본문 사무엘상 31장 6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의 배경은 사무엘상의 끝이며 사울과 그의 아들들의 죽음입니다.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패배해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의 죽임이 나옵니다. 그런데 이 사울의 죽음조차 안타까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 많은 것들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블레셋의 공격으로 이스라엘과 사울의 아들들은 어떻게 됩니까?” 1절과 2절을 보니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길보아 산에서 죽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사울의 아들이자 다윗의 믿음의 동지였던 요나단, 그리고 아비나답과..

사무엘상 27장 1-7절

제목 선택의 기로에서 무엇을 의지하는가 날짜 2023년 5월 11일 본문 사무엘상 27장 1-7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의 배경은 사울을 피해서 블레셋으로 들어간 다윗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의지하긴 하지만 여전히 사울에게 쫓기고 있던 다윗은 그의 판단으로 이스라엘이 아닌 블레셋으로 도망치고자 했습니다. 다윗의 이 모습을 보며 많은 것들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다윗은 사울에게 붙잡히지 않기 위해 어디로 도망치려고 합니까?” 1절을 보니 다윗은 생각합니다. 이곳 이스라엘에 있다가는 사울에게 잡힐 것이 분명하다. 그러니 블레셋의 영토로 들어가야겠다. 그곳으로 가면 사울이 나를 찾는 것을 단념하리라..

사무엘상 25장 9-17절, 진정한 지혜는 듣는 마음에서 나온다

제목 진정한 지혜는 듣는 마음에서 나온다 날짜 2023년 5월 4일 본문 사무엘상 25장 9-17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의 배경은 다윗은 나발을 찾아서 몇가지를 요청했습니다. 그런데 나발은 다윗을 굉장히 무시하며 다윗의 청을 거절합니다. 그래서 다윗은 분노에 휩싸여 나발을 없애버리려고 합니다. 그때 그 일을 알게된 나발의 하인 한명이 아비가일에게 이 모든 상황을 보고하는 장면입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서 몇 가지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다윗은 나발에게 모욕을 받자 자기 사람들에게 무엇을 준비시킵니까?” 나발은 다윗을 굉장히 모욕합니다. 이새의 아들이 누구냐? 반역하는 종이라고 표현하며 굉장히 무시하며..

사무엘상 24장 16-22절,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자는 평안하다

제목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자는 평안하다 날짜 2023년 5월 2일 본문 사무엘상 24장 16-22절 비고 새벽 예배 설교 [본문의 배경 설명] 오늘 본문의 배경은 다윗은 사울을 죽일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죽이지 않았음에 대한 사울의 대답입니다. 어떻게 보면 자신의 원수, 더 이상 도망을 끝내기 위해서는 사울을 없애버려야 했지만, 다윗은 사울을 살려줍니다. 그리고 자신의 무죄함을 다시 한번 언급했을 때 사울의 반응입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서 몇가지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내용관찰] 우리 함께 내용관찰 1번을 보겠습니다. “사울은 다윗의 앞날에 대해 어떻게 말합니까?” 20절을 보면 사울은 이렇게 말하죠 “나는 네가 반드시 왕이 될 것을 알고” 라고 말입니다. 사울은 다윗이 ..

728x90
반응형